본문 바로가기
전자파적합성시험

KCs인증, 전자파 적합성 시험은 환경안전기술원

by 환경안전기술원 2023. 3. 30.

안녕하세요!

환경안전기술원입니다:-)

오늘은 자율안전확인 신고 제출 서류 중 하나인

"전자파 적합성 시험"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전자파 적합성 시험

관련근거 - 고용노동부고시 제 2020-37호 위험기계·기구 자율안전확인 고시

- 고용노동부고시 제 2020-39호 안전인증대상기계 등이 아닌 유해·위험기계등의 안전인증규정

제품이 제조자에 의하여 생산되고, 이를 사용자가 사용할 때 실제 전기기기가 외부로 얼마만큼 전자파를 방출하며, 이와는 반대로 얼마만큼의 외부 전자파로부터 전기기기가 내성을 갖고 있는 지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실제 전자기기 간의 전자파 간섭으로 인해 기기의 파손 or 오작동으로 인한 인명의 상해와 사용자의 사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습니다.


 

⚙️

목적

전기를 사용하는 전기 및 전자 기기에서 발생되는 전자파 간섭을 최소화하고 이러한 전자파에 의한 내성시험을
통해 해당기기의 오작동으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고 주파수를 보호하는 것!

그렇다면 자율안전확인신고 대상 중

"전자파 적합성 시험 성적서" 가 필요한 대상품과

"전자파 적합성 시험 종류" 에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전자파 적합성 시험 성적서 대상품

시험대상기기
종류
공작기계
선반, 드릴기, 평삭 형삭기, 밀링기
고정형 목재가공용기계
둥근톱, 대패, 루타기, 띠톱, 모떼기
자동화설비
산업용로봇
기타 기계, 기구
연삭기. 연마기

✔️ 자율안전확인신고 진행 시 수치제어 방식의 산업기기 제품에 한하여 전자파적합성 시험이 진행됩니다.

✔️ 산업기기의 KCs인증을 획득하기 위해서 준수해야 할 법적 규정입니다.


🔌

전자파 적합성 시험 종류

구분
시험종류
전자파적합성시험(EMC)
전자파내성시험(EMS)
정전기 방전 내성 시험
서지내성 시험
전도내성 시험
전압강하내성 시험
버스트 내성 시험
방사내성 시험
전자파장해시험(EMI)
전도 장해 시험
방사 장해 시험

 

✔️전자파내성시험

① 정전기 방전 내성시험

: 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나 외부 환경에 의하여 정전기가 기기로 방전될 때 기기의 동작 성능평가

② 서지내성 시험

: 스위칭과 낙뢰 과도 현상으로 인한 과전압으로 야기된 단방향성의 서지에 대한 기기의 동작 성능 평가

③ 전도내성 시험

: 주변기기나 외부 환경으로부터 주파수에 대한 전도성 에너지가 기기의 AC, DC power port와 Signal port에 유입되었을 때 기기의 동작 성능 평가

④ 전압강하내성 시험

: 기기의 사용 중 의도하지 않은 전압 강하 또는 정전으로 인한 기기의 동작 성능 평가

⑤ 버스트내성 시험

: 전기적 빠른 과도현상에 의한 펄스집합들이 Power port 와 Signal port에 유기되었을 때 기기의 동작 성능 평가

⑥ 방사내성 시험

: 주변기기나 외부환경으로부터 주파수에 대한 방사성 에너지가 기기의 표면 또는 노출된 케이블에 유기되었을 때 기기의 동작 성능 평가

✔️전자파장해시험(EMI)

① 전도장해시험

: 기기에서 방출되는 전도성 장해에 대한 규제

② 방사장해시험

: 기기에서 방출되는 방사성 장해에 대한 규제

이번엔 전자파 적합성 시험이 어떻게 진행 되는 지 알아보겠습니다!

 

 

⚠️

준비사항

📌 정상적인 작동 상태에서 실시
📌 시험대상 기기의 방사시험은 전자파가 가장 많이 방사되는 모드에서 실시
📌 내성시험은 규격에 의해 인가되는 주파수 대역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상태에서 실시

자율안전확인시고 대상 기기의 상태
정상운전이 완벽하게 구현되어야 함
단, 재료의 가격이 비싸거나 위험한 물질이거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에는 실제의 재료를 투입하지 않고 가상운전이나 시뮬레이션 운전이 가능해야 한다.
특히, 각 모드 별 운전 및 연동 운전 등은 장비 사용 메뉴얼 상에 나타나 있는 운전 모드로 반드시 운전이 가능해야 한다.
전기배선이나 전장부품은 완벽히 구성되어있어야 함
기구물들(커버) 또한 제자리에 정상으로 조립되어 있어야 함
인증 대상 기기의 전원은 기타 기기들과 연결되어 있지 않고, 서로 분리되어 있어야 함
인증 대상 기기 내에 RF Generator과 같이 주파수 발생 기기가 내장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함

시험장 조건
"방사 장해 시험"은 시험품의 사방 4m이내에 아무것도 없는 시험 공간이 필요하고 시험 시에는 주변에 동작하는 장비가 없도록 해야 함
"전도 장해 시험"은 주변에 동작하는 장비를 최소화해야하며, 전원 투입구 부근 2x2m 공간을 확보해야 함
배전반의 차단기가 누전차단기(ELCB)일 경우, 시험의 특성 상 차단기가 트립될 우려가 있으므로 MCCB로 변경해야 함

인원배치
시험기간동안 인증 대상 기기를 운영할 수 있고, 부적합 발생 시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인원이 시험현장에 항시 상주하여하 함
메인 전선원의 배선작업(해체 및 재결합)을 위한 인원 필요

저희 환경안전기술원에서는

전자파 적합성 시험 출장 서비스를 통해

공간 또는 장비의 제한 없이 진행이 가능하며

시간 및 비용에 대한 부가가치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전자파적합성 시험에 대해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 편하게 연락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