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험성평가9

사업장 위험성평가 절차 2단계, 유해위험요인파악 즐거운 휴일 보내셨나요? 위험성평가 카테고리의 포스팅을 준비했는데요, 지난 1단계 사전절차내용에 이어 사업장 위험성평가 절차 2단계인 유해위험요인 파악에 대한 포스팅 준비했습니다. 유해위험요인 파악은 위험성평가의 핵심적인 절차로, 위험요인을 간과하고 놓친다면 안전대책을 제대로 세울 수 없을뿐더러 위험성을 제거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오늘은 어떤 방법으로 그 위험요인을 파악할 수 있는지 준비했으니 사업주라면 필독하시기 바랍니다. 위험성평가 절차 2단계유해위험요인 파악하기 1. 사업장 순회점검에 의한 방법( 필수 포함) 2. 근로자들의 상시적 제안에 의한 방법3. 설문조사 및 인터뷰 등 청취조사에 의한 방법4. 안전보건자료에 의한 방법5. 안전보건 체크리스트에 의한 방법6. 그 밖에 사업장의 특성에 적합.. 2025. 5. 7.
사업장 위험성평가 시 담당자별 역할 구분하기 안녕하세요 환경안전기술원입니다! 오늘은 위험성평가 포스팅 준비했는데요, 사업장에서 위험성평가를 더욱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성평가 주체별 역할에 대한 내용입니다. 구체적인 권한을 파악해 실제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며 각 담당자별로 어떤점이 다른지 구분하실 수 있길 바랍니다.  ◈ 위험성평가 주체와 역할참여역할안전보건관리책임자(사업주)* 위험성평가의 주도 및 총괄 관리- 사업주는 사업장을 실질적으로 총괄하여 관리하는 사람에게 해당 사업장의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총괄하여 관리하도록 하여야 한다.1. 사업장의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2.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및 변경에 관한 사항3.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사항4. 작업환경측정 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사항5. 근로자의 건강.. 2025. 1. 30.
사업장 위험성평가 절차 1단계, 사전준비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을 찾아내 미리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 사업장 위험성평가! 위험성평가는 총 다섯가지 절차로 사업주와 근로자가 자율적으로 이행해야 합니다. 오늘은 위험성평가의 첫번째 단계 [사전준비] 단계에 대한 내용 준비했는데요, 먼저 다섯가지 절차 간략하게 확인하겠습니다! 1) 사전준비 : 위험성평가 실시규정 작성, 위험성의 수준 등 확정, 평가에 필요한 각종 자료 수집2) 유해위험파악 : 사업장 순회점검 및 근로자들의 상시적 제안등을 활요해 사업장 내 유해위험요인을 파악3) 위험성 결정 : 사업장에서 설정한 허용가능한 위험성의 기준을 비교해 추정된 위험성의 크기가 허용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 후 결정4)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및 실행 :위험성의 결정 결과 허용 불가능한 위험성을 합리적으로 실천 가능.. 2024. 12. 19.
위험성평가 빈도강도법으로 위험성 수준 판단하기 안녕하세요, 환경안전기술원입니다~ 제조업 사업장 위험성평가, 사업장의 안전을 위해 사업주라면 반드시 실행하셔야 하는 과정입니다. 그동안 포스팅한 체크리스트법, 핵심요인기술법, 3단계판단법에 이어 오늘 공유해드리는 위험성평가의 마지막 방법 [빈도강도법]까지 살펴보시고 어떤 방법이 사업장에 적절할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빈도강도법이란?빈도강도법은 우리 사업장에서 파악된 유해위험요인이 얼마나 위험한지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입니다.위험성의 빈도(가능성)와 강도(중대성)을 곱셈, 덧셈, 행렬 등의 방법으로 조합하여 위험성의 크기를 산출해보고, 이 위험성의 크기가 허용가능한 수준인지 여부를 살펴보는 방법입니다. 위험성평가 지원시스템에서 기존에 5단계 방법이라는 이름으로 위험성평가 과정을 도와주고 기록하는 서비.. 2024. 10.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