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험성평가

사업장 위험성평가 시 담당자별 역할 구분하기

by 환경안전기술원 2025. 1. 30.


안녕하세요 환경안전기술원입니다! 오늘은 위험성평가 포스팅 준비했는데요, 사업장에서 위험성평가를 더욱 체계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위험성평가 주체별 역할에 대한 내용입니다. 구체적인 권한을 파악해 실제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하며 각 담당자별로 어떤점이 다른지 구분하실 수 있길 바랍니다.

 

 

◈ 위험성평가 주체와 역할

참여 역할
안전보건관리책임자(사업주) * 위험성평가의 주도 및 총괄 관리
- 사업주는 사업장을 실질적으로 총괄하여 관리하는 사람에게 해당 사업장의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총괄하여 관리하도록 하여야 한다.

1. 사업장의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2.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및 변경에 관한 사항
3.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사항
4. 작업환경측정 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사항
5. 근로자의 건강진단 등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
6. 산업재해의 원인 조사 및 재발 방지대책 수립에 관한 사항
7.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 및 유지에 관한 사항
8. 안전장치 및 보호구 구입 시 적격품 여부 확인에 관한 사항
9. 그 밖에 근로자의 유해위험방지조치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관리감독자 * 위험성평가 수행
- 사업장의 생산과 관련되는 업무와 그 소속 직원을 직접 지휘하고 감독하는 지위에 있는 사람으로,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업무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업무를 수행해야 한다.

1. 관리감독자가 지휘, 감독하는 작업과 관련된 기계 및 기구 또는 설비의 안전보건점검 및 이상 유무의 확인
2. 관리감독자에게 소속된 근로자의 작업복 및 보호구, 방호장치의 점검과 그 착용과 사용에 관한 교육지도
3. 해당작업의 작업장 정리정돈 및 통보확보에 대한 확인 감독
4. 유해위험요인의 파악에 대한 참여
5. 개선조치의 시행에 대한 참여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안전보건관리자
* 위험성평가의 실질적인 실행 관리
- 사업장을 실질적으로 총괄하여 관리하는 사함으로, 아래 업무를 총괄해 관리해야 한다.

1. 사업장의 산업재해 예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2. 안전보건관리규정의 작성 및 변경에 관한 사항
3. 안전보건교육에 관한 사항
4. 작업환경측정 등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에 관한 사항
5. 근로자의 건강진단 등 건강관리에 관한 사항
6. 산업재해의 원인 조사 및 재발 방지대책 수립에 관한 사항
7. 산업재해에 관한 통계의 기록 및 유지에 관한 사항
8. 안전장치 및 보호구 구입 시 적격품 여부 확인에 관한 사항
9. 그 밖에 근로자의 유해위험 방지조치에 관한 사항으로서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사항
*위험성평가의 실시에 관한 사항과 안전보건규칙에서 정하는 근로자의 위험 또는 건강장해의 방지에 관한 사항
근로자 * 위험성평가 참여

1. 유해위험요인의 위험성 수준을 판단하는 기준을 마련할 때
2. 유해위험요인별로 허용 가능한 위험성 수준을 정하거나 변경할 때
3. 해당 사업장의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할 때
4. 유해위험요인의 위험성이 허용 가능한 수준인지 여부를 결정할 때
5. 위험성 감소대책을 수립해 실행할 때
6. 위험성 감소대책 실행 여부를 확인할 때

 

 

◈ 위험성평가 교육

구분 종류 대상 교육시간 교육기관
고시에 따른
지원 교육
사업주 교육 사업주 또는 
단위사업자 책임자
대면 2시간 안전보건공단
산재예방요율제
사업주 교육
사업주 대면 4시간 안전보건공단
평가담당자 교육 위험성평가 담당자 등 대면 16시간 안전보건공단
전문가 양성 교육 희망자 대면 18시간 안전보건공단
산업안전보건교육원
일반 교육 위험성평가 제도의 이해 희망자 온라인 2시간 안전보건공단
인터넷교육센터
위험성평가 전문과정 희망자 온라인 5시간 안전보건공단
인터넷교육센터

 


 

제조업 사업장도 위험성평가 반드시 실시해야 합니다!

유해위험파악부터 자료 공유까지, 

위험성평가 제도 이행을 위한 컨설팅은 환경안전기술원과 함께 해보세요 :D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