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업안전 관련/산업안전 자료실17

사업주의 산업안전보건법의 이점 안녕하세요. 환경안전기술원입니다. 사업주와 근로자를 위한 안전한 근무 환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산업현장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근로자에게도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사고가 난 회사 입장 역시 곤란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사고 예방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사업주, 근로자 모두가 행복하고 즐거울 수 있는 산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많은 제도와, 법적인 장치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오늘은 사업주의 산업안전보건법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서 사업주가 반드시 이행해야 하는 내용입니다. 산업안전, 보건에 관한 기준을 세우고 유지,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서 제정된 법률입니다.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2021. 12. 9.
공정안전보고서 제출 대상과 방법 및 과태료와 벌금 안녕하세요. 환경안전기술원입니다. 오늘은 공정안전보고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해화학물질을 다루는 화학공장의 경우 화재와 폭발 사고가 발생하면 중대 산업 사고로 이어지게 됩니다. 유독가스 발생과 복합적인 유해요소가 발생하기 때문에 특별한 관리를 해야 합니다. 중대 산업사고 예방을 위한 제도로 공정안전보고서가 있습니다. 보고서 제출 제도는 산업안전보건법이 정하고 있는 유해, 위험 물질을 제고하고 취급, 저장하는 설비를 보유하고 있는 사업장으로 설비의 위험 물질 누출과 화재 그리고 폭발로 인해 중대 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보고서를 작성해 제출하고 심사와 확인을 받는 것입니다. 대상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44조로 제출 대상 규정으로 대상 업종 사업장, 동 시행령에서 규정하는 유해 위험 물질 중 .. 2021. 12. 8.
위험성평가 전문적인 도움이 필요하다면 안녕하세요. 환경안전기술원입니다. 하루에도 많은 사람들이 산업재해로 사망을 하고 있습니다. 경제와 산업시설이 날로 발전을 하면서 시설, 설비에 대한 위험도 역시 증가하고 있어 산업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사전에 방지를 하기 위해서 사업장 내의 유해, 위험요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여 실행까지 거치는 과정의 중요성 역시 날로 증대되고 있습니다. 위험성평가 실시를 주체하는 이는 사업주입니다. 사업주의 주도하에 안전보건관리책임자, 관리감독자,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안전보건관리 담당자), 해당 사업장의 근로자가 모두 참여를 해서 맡은 바 역할에 맞게 실행을 해야 합니다. 안전보건관리책임자는 평가 실시와 총괄,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안전 보건관리자(안전보건관리 담당자)는 평가 실시에 관.. 2021. 12. 7.
유해위험방지계획서 과정과 제출 대상 업종 안녕하세요. 환경안전기술원입니다. 오늘은 유해신고방지계획서의 정의와 대상 업종에 대해 알려 드리겠습니다. 2020년 산재 사고를 목숨을 잃은 사망자는 총 882명으로 매년 산재 사고 사망자의 수는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안타까운 사건사고를 줄이기 위해 산업재해에 대한 인식과 사업장 내 안전에 대한 확보는 아주 중요할 것입니다. 유해위험방지계획서란? 산업안전보건법 제42조에 따른 생산 공정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건설물, 기계, 기구 및 설비 등 일체를 설치, 이전, 변경하기 전에 계획서를 작성, 제출하고 현장 확인을 통해 유해 위험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산재 예방 및 근로자 안전보건의 유지, 증진에 기여하기 위한 법적 제도입니다. 업종 및 규모에 해당하는 사업의 사업주 경우에는 해당 제품의 생산 공정.. 2021. 1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