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60 안전보건표지 그림이 효과적인 이유 안녕하세요. 환경안전기술원입니다. 기술이 고도화되고 있고 보다 쾌적한 근무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안전에 대한 경각심이 더욱 강조되고 있습니다. 하나의 제품이나 물건이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많은 공정을 거쳐야 하고 그 과정에서 위험을 소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어떤 기계라도 사용방법을 제대로 숙지하지 못하거나 주의사항을 준수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각별하게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재해예방을 위한 안전보건표지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안전보건표지란? 산업현장에서 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금지, 경고, 비상조치에 대한 지시나 안내를 그림이나 기호, 글자를 이용해서 표시한 것을 말합니다. 해당 표지를 통해서 유해, 위험 요인에 대한 경고를 주고 행동요령을 노동자에게 전달하기 .. 2021. 12. 10. 사업주의 산업안전보건법의 이점 안녕하세요. 환경안전기술원입니다. 사업주와 근로자를 위한 안전한 근무 환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들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산업현장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근로자에게도 많은 피해가 발생하고 사고가 난 회사 입장 역시 곤란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사고 예방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사업주, 근로자 모두가 행복하고 즐거울 수 있는 산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 많은 제도와, 법적인 장치들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오늘은 사업주의 산업안전보건법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산업안전보건법 근로자의 안전을 위해서 사업주가 반드시 이행해야 하는 내용입니다. 산업안전, 보건에 관한 기준을 세우고 유지, 증진을 도모하기 위해서 제정된 법률입니다.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2021. 12. 9. 공정안전보고서 제출 대상과 방법 및 과태료와 벌금 안녕하세요. 환경안전기술원입니다. 오늘은 공정안전보고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해화학물질을 다루는 화학공장의 경우 화재와 폭발 사고가 발생하면 중대 산업 사고로 이어지게 됩니다. 유독가스 발생과 복합적인 유해요소가 발생하기 때문에 특별한 관리를 해야 합니다. 중대 산업사고 예방을 위한 제도로 공정안전보고서가 있습니다. 보고서 제출 제도는 산업안전보건법이 정하고 있는 유해, 위험 물질을 제고하고 취급, 저장하는 설비를 보유하고 있는 사업장으로 설비의 위험 물질 누출과 화재 그리고 폭발로 인해 중대 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보고서를 작성해 제출하고 심사와 확인을 받는 것입니다. 대상은 산업안전보건법 시행령 제44조로 제출 대상 규정으로 대상 업종 사업장, 동 시행령에서 규정하는 유해 위험 물질 중 .. 2021. 12. 8. 중대재해처벌법과 중재시민재해의 처벌 기준과 적용범위 안녕하세요. 환경안전기술원입니다. 산업현장에서 억울하게 목숨을 빼앗긴 분들의 사연이 미디어를 통해 계속 전해지면서 시민과 노동자의 안전에 사람들이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사람들의 많은 관심과 시민 노동자의 안전을 위해 2021년 1월 26일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습니다. 2022년 1월 27일부터는 상시근로자 인원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중대재해처벌법령이 시행됩니다. 해당 내용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중대재해처벌법이란? 중대산업재해 (산업법에 따른 사고), 중대시민재해(공중이용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사고) 두 가지로 구분이 됩니다. 사업주와 경영책임자 등에게 안전 및 보건 확보 의무를 강화했습니다. 주요 안건은 먼저 경영책임자 등에 유해, 위험 방지 의무를 명시했습니다.. 2021. 12. 7. 이전 1 ··· 31 32 33 34 35 36 37 ··· 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