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정안전보고서(PSM)

공정안전보고서(PSM) 작성, 공정안전관리 12대 요소

by 환경안전기술원 2024. 4. 18.


안녕하세요~ 환경안전기술원 입니다!

 

화학공장의 중대산업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공정안전관리 제도를 따라 사업장에서 시행하여야 합니다.

유해화학물질의 취급하는 사업장에서 누출, 화재, 폭발등의 사고가 발생할 시 근로자에게 즉시 피해를 줄 수 있으며 인근지역, 주민들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사고 피해를 줄이고 예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제도입니다.

 

화학공장 등 공정안전관리가 필요한 사업장이라면 반드시 지켜야하는 12대 요소들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떠한 공정안전관리 요소들이 있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01. 공정안전자료

실천사항 세부 추진사항
공정안전자료의 주기적인 보완 및 체계적 관리 • 공정안전자료 보완 및 관리규정 제정
• 공정안전자료 관리시스템 구축 및 주기적 보완(원본 관리)
• 보완내용 공지 및 공정안전자료 제·개정목록 작성

 

02. 공정위험성평가

실천사항 세부 추진사항
공정위험성평가 체제 구축 및 사후관리 • 공정위험성평가 종합계획 수립·시행
• 사업장 자체적인 위험성평가체제 구축
• 주기적인 위험성평가 실시 및 평가결과 사후관리

 

03. 안전운전지침

실천사항 세부 추진사항
안전운전절차 보완 및 준수 • 안전운전지침서의 제·재정 절차 표준화
• 안전운전지침서의 주기적인 보완
• 안전운전지침 준수여부를 자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체제구축

 

04. 설비점검·검사 유지·보수

실천사항 세부 추진사항
설비별 위험등급에 따른 효율적인 관리 • 설비종류별 위험등급 분류체계 수립 및 절차서 유지·관리
• 설비점검 마스터 작성, 종합계획 수립 후 검사 등 실시, 설비 이력 관리
• 장치·설비의 유지 보수 시스템 구축(표준화)

 

05. 안전작업허가

실천사항 세부 추진사항
작업허가 절차 준수 • 주기적인 안전작업허가절차 개선·보완
• 안전작업허가절차(발급·승인·입회) 준수여부 확인
• 안전작업허가서 내용 이행여부 수시점검

 

06. 도급업체 안전관리

실천사항 세부 추진사항
도급업체 선정 시 안전관리 수준 반영 • 객관적인 평가체제 구축
• 도급업체 선정시 안전보건분야 실적 반영
• 상주 및 비상주 도급업체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 및 등급관리

 

07. 근로자 등 교육

실천사항 세부 추진사항
근로자(임직원)에 대해 실질적인 PSM 교육 • 연간 교육계획의 수립 및 실행
• PSM 12개 구성 요소별 교육교재 작성
• 계층별 PSM 교육 및 성과측정

 

08. 가동전 점검

실천사항 세부 추진사항
유해·위험설비의 가동 전(시운전) 안전점검 • 유해·위험설비에 대한 설비별 가동전 점검표 작성 및 주기적인 보완
• 가동전 점검 실시, 점검결과에 따라 시운전 여부 판단
• 유해위험요인 제거 후 가동

 

09. 변경요소 관리

실천사항 세부 추진사항
설비 등 변경 시 변경관리절차 준수 • 변경의 범위(변경 판정기준)를 명확하게 설정·적용
• 변경사유 발생 시 변경관리 절차 준수
• 변경관리위원회의 실질적인 활동 및 권한 부여

 

10. 자체감사

실천사항 세부 추진사항
객관적인 자체감사 실시 및 사후조치 • 정기적인 자체감사 계획 수립·실시
• 자체감사 점검표(Check-List)의 주기적 보완
• 자체감사팀 구성 및 권한부여

 

11. 공정사고 조사

실천사항 세부 추진사항
정확한 사고원인규명 및 재발방지 • 아차사고(공정사고)를 포함하여 사고원인조사 수행
• 동종업체 사고사례 분석·활용
• 자사 및 타사 사고사례 데이터베이스 구축

 

12. 비상조치

실천사항 세부 추진사항
비상대응 시나리오 작성 및 주기적인 훈련 • 최악 및 대안의 비상대응 시나리오 선정
• 종합적이고 입체적인 피해 최소화 전략 수립
• 주기적인 자체비상훈련 및 외부 합동비상훈련


 

공정안전보고서(PSM) 관련 컨설팅 문의는

환경안전기술원으로 연락주세요 ! 

감사합니다 : ) 

 

https://esti.co.kr/sub/sub020101.php

댓글